Top-story뉴스갈무리

파주시, 비판 언론 카메라 파손으로 언론탄압 논란

시민엽합신문은 2025.8.27일자 기사에서 파주시가 평상시 비판언론으로 지목한 언론사의 취재를 원천 봉쇄하여 언톤탄압 논란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파주위키-

사건 개요

파주시가 시정에 비판적인 언론의 취재 활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언론탄압 논란에 휩싸였다. 김경일 파주시장과 시 관계자들이 특정 언론인의 취재를 막고 카메라를 파손시키는 일이 발생했다.

사건 경과

취재 봉쇄 상황

8월 26일 파주읍 연풍리 옛 성매매집결지 전람회장에서 열린 ‘성교육을 말하다’ 행사장에서 언론탄압 사건이 벌어졌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행사장 입장 시 파주바른신문 이용남 기자의 취재를 제지하며 카메라를 밀쳐 땅에 떨어뜨렸다.

최을용 소통홍보관을 비롯한 시 관계자들은 팔짱을 끼고 이용남 기자의 행사장 출입을 완전히 차단했다. 반면 시에 우호적인 기사를 작성해온 파주신문과 파주민보 기자들은 아무런 제지 없이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었다.

선별적 취재 허용

파주시는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인 취재 허용 기준을 적용했다. 시정에 비판적인 파주바른신문은 취재를 봉쇄당한 반면, 시에 우호적인 언론들에게는 자유로운 취재 활동을 허용했다.

관련자 반응

언론인 항의

취재를 제지당한 이용남 기자는 “시민의 알 권리를 위한 정당한 취재 활동을 폭력적으로 막은 것은 명백한 언론탄압”이라며 강력히 항의했다.

시민 반응

현장을 목격한 시민은 “시민을 위한 시장이 연풍리 주민들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공청회도 들어주지 않고 시민들을 위해 보도하는 언론을 탄압하는 것은 독재사회에서나 있을 일”이라며 “시민과 언론을 무시하고 탄압하는 김경일 시장과 관련 공무원들을 시민의 이름으로 규탄한다”고 말했다.

배경 상황

주민 갈등

연풍리 주민들은 파주시의 일방적인 공공시설 건립 계획에 반발하며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있었다. 현장은 주민 집회로 인해 갈등이 고조된 상태였다.

개발 논란

연풍지역활성화대책위 박동훈 위원장과 연풍2리 노성규 이장은 “대추벌은 전쟁 이후 기지촌 형성과 군사시설보호법 규제로 수십 년간 낙후되어 왔다”며 “그런데도 시는 주민 설명도 없이 여성인권센터, 시립요양원, 파크골프장 등 공공시설을 몰아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향후 전망

지속되는 갈등

주민들은 26일 ‘성교육을 말하다’ 행사와 9월 2일 예정된 김경일 시장 참석 행사에 맞춰 추가 집회를 예고했다. 대책위는 “시장의 일방적 행보를 규탄하고 주민들의 권리를 지키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사회적 파장

이번 사안은 단순한 개발 갈등을 넘어 언론자유와 표현의 자유라는 사회적 쟁점을 포함하며 더 큰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파주시의 선별적 취재 허용과 폭력적 제지는 지역 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