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통일주체국민회의 파주군 당선자
통일주체국민회의는 1972년 10월 유신으로 출범한 최상위 헌법기관으로 1972년과 1978년에 당시 파주군의 읍면별 당선자 현황이다. 이 내용은 동아일보 해당 일자의 신문기사이다..
1972년 12.16일 당선자
- 臨津面(림진면) 黃再淵(황재연)(55 社員(사원) 國卒(국졸))3,013 金鍾昇(김종승)(48 漢醫(한의) 大卒(대졸))1,863
- 月籠面(월롱면) 曹永柱(조영주)(43 農業(농업) 國卒(국졸))
- 無投票炭縣面(무투표 탄현면) 鄭權根(정권근)(38 農業(농업) 大卒(대졸)) 1,479
- 交河面 (교하면) 尹漢容(윤한용)(59 農業(농업) 専門卒(전문졸))1,949
- 衙洞面(아동면) 崔炳德(최병덕)(55農業(농업) 國卒(국졸))
- 無投票條里面(무투표조리면) 宋榮高(송영설) (58 農業(농업) 國卒(국졸))2,171
- 廣灘面(광탄면) 李鼎九(리정구)(46 農業(농업) 國卒(국졸))1,695
- 州内面(주내면) 朴致鉉(박치현)(45 農業(농업) 國卒(국졸))2,711李漢成(리한성) (36 農業(농업) 高卒(고졸))2,606
- 泉峴面 (천현면) 金萬錫(김만석)(56 운수업 高卒(고졸))2,772
- 坡平面(파 평면) 趙慶來(조경래)(34 商業(상업) 大退(대퇴)) 1,526
- 積城面(적 성면) 韓天愚(한천우)(45 農業(농업) 國卒(국졸))2,514
1978.5.19일 당선자
- 金村邑(금촌읍) 崔炳德(최병덕)(61國(국) 卒(졸) 전면장)再(재) 宋晋鏞(송진용)(56國(국) 卒(졸) 사회사업)
- 汶山邑(문산읍) 金鍾昇(김종승)(54 大(대) 卒(졸) 한의사)再(재) 尹章熙(윤장희)(53 高 (고) 卒(졸) 진흥공업대표)
- 月籠面(월농면)★曹永柱(조영주)(49國 (국) 卒(졸) 농업)
- 再炭縣面(재탄현면) ★鄭權根(정권근)(44 大(대) 卒(졸) 농업)
- 再交河面(재교하면) 曺圭瑛(조규영)(47 中(중) 卒(졸) 예비군중대장)
- 條理面(조리면) 張熙柱(장희주)(36大(대) 卒(졸) 별정우체국장)
- 廣灘面(광탄면)★曺守天(조수천)(64國(국) 卒(졸) 전면장)
- 州內面(주내면) 李興國(이흥국)(55高(고) 卒(졸) 회사원)
- 泉峴面(천현면) 盧麟鉉(로인현)(52國(국) 卒(졸) 단위조합장)
- 坡平面(파평면) 鄭求學(정구학)(48 大(대) 卒(졸) 노조지부장)
- 積城面(적성면) 李昌益(이창익)(31 高(고) 卒(졸) 농업)
통일주체국민회의(統一主體國民會議)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으로 제4공화국이 출범하면서 구성된 당시헌법 최상위 헌법기관으로 정부주요정책 정당성 부여한 간접민주주의 대의기관이였다. 중요 기능은 유신헌법의 핵심인 주체적 평화통일 정책추진과 대통령과 일부국회의원 간접선출 기능을 담당했다.
1973년 8월부터 약칭은 국민회의(國民會議)로 정해졌다. 국민회의는 전국의 각 지역구에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 대의원들로 구성되었는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비공식적으로 통대, 통의라는 약칭으로 불리었다.
1980년 제5공화국헌법따라 폐지되었으며 통일관련 일부기능 및 사무와 자산.조직은 신헌법에따라 신설되는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승계되었으며, 1987년헌법에따라 지금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로 명칭변경 및 일부 조정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