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개성-양주 역참
1018년(현종 9)의 대폭적인 군현제 개편과 1067년(문종 21) 남경(南京)이 제도화된 때를 전후하여 역참조직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고려사』에 의하면 〈표 3〉과 같이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계로 역참조직이 완성되었다.
靑郊道 (開城~陽州) -15개소
청교도 (개성~양주)
靑郊(開城)·通波(臨津)·馬山(峯城)·碧池(高峯)·迎曙(南京)·平理(德水)·橡林·丹棗(積城)·淸波(南京)·蘆原(南京)·幸州·從繩(守安)·金輪(樹州)·重林(仁州)·綠楊(見州)
청교(개성)·통파(임진)·마산(봉성)·벽지(고봉)·영서(남경)·평리(덕수)·상림·단조(적성)·청파(남경)·노원(남경)·행주·종승(수안)·금륜(수주)·중림(인주)·녹양(견주)1

-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역참 ↩︎